'성씨'에 해당되는 글 1

  1. 2006.10.10 내 항렬은 어디 - 진주 강씨 박사공파 27대손

내 항렬은 어디 - 진주 강씨 박사공파 27대손

어릴 적 족보를 보았지만 관심이 없었고 내 뿌리가 어디서 왔는지 찾아 보려고하니 족보 책은 없고 인터넷을 통해 조사해 보았다. 알고 있는 정보란 "진주 강"씨이고 내 이름의 돌림자는 "聲"자 부모님 돌림자는 "遠", 조부모님 돌림자는 "大"라는 것만 아는 상태에서 찾아보기로 하였다.

진주 강씨 홈페이지가 나오고 거기서 찾아보니 박사공파 -> 진원군공파 항렬이다. 27세고 28세는 택(澤)자 돌림이다.  족보로 하면 한솔(韓率)이는 한택(韓澤)이 정도가 되는 것이다.

일단 항렬자부터 알아보기로 하였다.


항렬자(行列字)와 작명

  우리 나라에서는 한자 성명이 쓰이기 시작한 시기는 삼국시대부터이고 고려시대에는 서민층까지 보급되었다. 항렬자(이름 돌림자)만 보아도 어느 가문 몇 대손(代孫)임을 알 수 있는 독특한  작명제도가 오늘날에도 꾸준히 사용되고 있다. 특히 명문 벌족이라고 자처하는 문중에서는 더욱 그러하다. 항렬자란 방계 혈족 사이의 대수(代數), 세계(世系) 관계를 나타내는 글자로 각 문중에서 일정한 규칙을 정하여 대대로 써오는 작명 제도의 일종이다. 형제간은 한 항렬에 속하며, 이름에 같은 글자를 항렬자를 넣음으로써 같은 세계(世系)임을 나타낸다.

그러나 여성의 이름을 지을 때 항렬자에 의해 짓기가 곤란한 경우가 있다. 이 부분은 각 문중에서 여성을 위한 항렬자를 새로 만들 필요성이 있다 하겠다.

  이름은 옛날이나 지금 그 중요성을 부인하기란 어렵다. 그래서 누구나 자신의 아들 딸에게 어떤 이름을 지어 줄 것인가?에는 고민을 하고 있다. 작명이 무엇인지 자체를 모르는 한글 세대에게는 고민 아닌 고민일 수 있다. 옛날 우리들의 선조들은 신분에 따라 이름을 달리하였다. 지체 높은 양반들은 4개나 되는 이름을 사용했는가 하면 서민의 경우는 평생을 아명 1개만을 사용했다. 그렇다고 "사주" 혹은 "원형이정의 수리"에 맞추어 전통적인 작명법에 의해 이름을 지어야 한다는 주장은 오늘에 있어서는 별로 설득력이 없다. 더구나 작명의 시대적 개념도 바뀌었기 때문에 개성을 중요시 하는 요즘 세대에게는 어울리지 않는다.

그냥 불러서 듣기에 좋아야 하고 부르는 사람에게도 느낌이 좋으면 예쁜 이름 정도로 만족하고 있다.

   (1) 가급적이면 항렬자를 사용한다.  
  (2)  뜻과 음이 좋아야 한다
  (3) 이름을 짓는 사람의 좋은 뜻이 깃들어야 한다.
  (4) 발음하여 듣기에 좋아야  하며 부르는 이에게는 좋은 느낌이 들여야 한다.
  (5) 놀림의 대상이 되어서는 안된다.

    항렬자를 정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으나 대체로 오행상생법(五行相生法) 즉 金→水→木→火→土→金…으로 항렬자를 쓰는 경우가 가장 많다.


오행상생법(五行相生法)

음양설(陰陽說)에 따른 우주만물(宇宙萬物)의 상생(相生), 상극(相剋)의 힘에 의하여 생성된다는 학설에 따라 만물을 조성(組成)하는 금(金), 수(水), 목(木), 화(火), 토(土)의 다섯가지 원기(元氣)의 오행설(五行說) 즉 오행상생(五行相生)의 목생화 (木生火), 화생토(火生土), 토생금(土生金), 금생수 (金生水), 수생목(水生木)이 서로 순환해서 생(生)한다는 이치(理致)에 따라 자손(子孫)의 창성(昌盛)과 부귀영화(富貴榮華)를 뜻하는 글자를 이름자로 고르고 그 순리대로 반복하여 순환시켜 나간다.

이름의 종류

▣ 아명 : 성인이 될 때까지 집안에서 부르던 어린아이 때의 이름.
▣ 관명 : 장성해서 그 집안의 항렬자에 따라 짓는 이름
▣ 자(字) : 혼인한 후에 본 이름 대신 부르는 이름으로   일상생활에서는 어른 아닌 사람들이 자를 불렀다.
▣ 호 : 자 이외에 쓰는 아명(雅名)으로 학자나 문인등의  예술가들이 별도로 사용하던 이름
▣ 시호 : 조선 시대에는 정2품 이상 벼슬아치나 유현(儒賢) 등이 죽은 뒤  나라에서 그 행적에 맞게 임금이 내리는 이름


박사공파 → 대장군공(휘 昌富)파 항렬자

23세

24세

25세

26세

27세

28세

29세

30세

31세

32세

33세

34세

35세

36세

燦 O

炳 O

O 基

O 奎

鎭 O

鐘 O

O 源

O 漢

東 O

相 O

O 煥

O 然

圭 O

載 O

O 鎬

O 鉉

洪 O

泰 O

O 植

O 柱

炫 O

호 O

O 均

O 墉

銖 O

鉦 O

O 洛

O 汶

燦(찬) 炳(병)

基(기) 奎(규)

鎭(진) 鐘(종)

源(원) 漢(한)

東(동) 相(상)

煥(환)然(연)

圭(규) 載(재)

鎬(호) 鉉(현)

洪(홍) 泰(태)

植(식) 柱(주)

炫(현)

均(균) 墉(용)

銖(수) 鉦(정)

洛(낙) 汶(문)

박사공파 →진원군공(휘 昌貴)파 항렬자

23세

24세

25세

26세

27세

28세

29세

30세

31세

32세

33세

34세

35세

36세

永 O

漢 O

源 O

O 秀

大 O

O 遠

O 中

聲 O

鎬 O

O 澤

O 淳

O 求

來 O

模 O

秉 O

O 焌

O 默

O 顯

培 O

敎 O

應 O

O 鍊

O 鐘

O 鐸

雨 O

湜 O

浚 O

O 榮

O 樺

O 穆

熏 O

炯 O

煇 O

O 垠

O 喆

O 奎

O 元

O 馨

熙 O

昌 O

O 信

錫 O

永(영)漢(한)源(원)

秀(수)元(원)馨(형)

大(대)熙(희)昌(창)

遠(원)中(중)信(신)

聲(성) 鎬(호) 錫(석)

澤(택)淳(순)求(구)

來(내)模(모)秉(병)

焌(준) 默(묵)顯(현)

培(배) 敎(교) 應(응)

鍊(연) 鐘(종) 鐸(탁)

雨(우) 湜(식) 浚(준)

榮(영)樺(화)穆(목)

熏(훈) 炯(형) 煇(휘)

垠(은) 喆(철) 奎(규)

*24, 25, 26, 27세 상단은 주로 통정공파에서 하단은 통계공파에서 항렬자로 사용하고 있음.

항렬을 찾아보니 박사공파 27대손이다.  은렬공파나 소감공파 항렬도 나와 있는데 여기서는 박사공파만 적었다.
보다 자세한  진주 강씨에 관한 내용은 : http://www.jinjukangssi.or.kr/를 참조